top of page

Statement

멀리 있는 것 같지만, 가까이에 있는 소중한 세상

작가는 십장생도(十長生圖)’를 재해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우리는 누구나 갈망한다. 오늘 보다 더 나은 내일이 와 닿기를. 우리의 삶이 하루 더 안온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바뀌지 않는 인간의 욕망이다. 궁중회화와 민화로, 궁중과 민중을 넘나들며 조선시대 선조들에게 향유되었던 십장생도(十長生圖)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다. 생명력이 가득한 이상세계를 화면에 담고, 전하고, 소장하며 무병장수(無病長壽)를 기원했던 과정을 통해 그 욕망을 미화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나는 십장생도라는 그림이 향유되었던 과정의 의미를 삶에 대한 의지와 서로의 삶을 향한 응원으로 재해석하고, 다시 새로운 화면의 십장생도로 우리의 삶을 응원하는 마음을 대중에게 전하고 싶다.

 

예나 지금이나 인간이라면 살아가는 동안에 ‘무병장수(無病長壽)를 기원하는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욕망이라는 사실, 그 원초적인 욕망을 그림으로 그리고, 기원했던 ‘십장생도’라는 그림의 존재에 대해 경이하고, 그러한 그림을 그리고, 전하고, 소장하는 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의지와 응원의 태도를 향유했던 과정을 하나의 ‘문화’로 해석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십장생도에서 표현되는 이상세계의 화면에는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데 그것은 그 그림을 바라볼 사람을 염두해두고 그렸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람을 위한 그림인 것이다.

그렇게 십장생도의 화면은 인간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림을 바라볼 이가 살기 좋은, 생명력이 가득한 이상세계를 한 화면에 담고 있는 것이다. 나는 이 지점에서 현대인이 꿈꾸는 이상세계에 대한 질문을 가지게 된다.

 

‘나와 우리들의 이상세계는 어떤 모습인가?’

 

선조들에게 ‘이상세계’는 불변하는 자연물이 생동하는 화면이지만, 현대인이 꿈꾸는 보편적인 ‘이상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상상하고 그것을 화면에 담아보고자 한다. 모든 것이 발전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은 제각각 너무 다른 이상세계를 꿈꾸고 있는 것 같다. 그 이상세계가 구체적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지만 작가는 현대인의 모든 이상세계가 어쩌면 이미 우리 앞에 와 있을지도 모른다고 믿고 싶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세계가 이미 어제 바라던 내일이라는 생각으로, 지금의 우리 모습에서 우리가 바라던 '이상세계'의 순간을 찾고, 일상을 숭고하게 바라보는 태도를 작품을 통해 제안하고 싶다. 우리가 바라는 이상세계는 멀리에 있지 않으며, 이미 우리 곁에 펼쳐진 일상의 순간에서 찾아보기를 작품으로 제안하고 싶은 것이다.

 

우리가 바라는 오늘 보다 더 나은 내일, 바꿔 말하면 내일을 위해 바치는 오늘은 어제 바라던 내일이다. 하루만 더 천천히 어제 내가 바라던 오늘을 더 곰곰히 바라보기를 제안하고 싶다.

 

멀리 있는 것 같지만, 가까이에 있는 소중한 세상은 바로 오늘, 여기에 있다.

 

최근 작품들은 우리의 모습을 닮은 동물의 상징인 학, 사슴, 거북을 의인화 한 캐릭터와 자연물의 상징인 그 밖의 상징들(해, 달, 산, 물, 구름, 불로초, 소나무 등)을 도식화 하거나, 특정 장소의 풍경을 병치하여 십장생도가 담고 있는 10가지 상징들을 다른 모양과 방식으로 한 화면에 담고 있다. 때때로 전통적인 십장생도의 선들도 변형, 차용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십장생도의 화면과 차별성을 가미하고, 더 재미있는 십장생도로 다시 구성하는 시도로 작품을 연구하고 있다.

 

거창하게 들리겠지만, ‘지금’의 시절을 살아가는 작가로서, 과거와 미래를 잇는 존재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싶다. 전통에서 찾는 십장생도라는 매개적인 문화 양식과 그것의 가치와 의미를 바탕으로, 그 문화의 주된 역할이였던 '삶에 대한 응원과 의지'라는 본질적인 길상적 임무를 계승하고자 한다.

 

새로운 화면으로 재구성된 십장생도의 제안으로 나를 포함하는 현대인의 삶을 응원하고, 동시에 그들의 삶을 기록하고 싶다.

 

우리들의 오늘,

소중한 날들을

Statement

A Precious World That Seems Distant, Yet Is Close

The artist is engaged in a body of work that reinterprets the Sipjangsaengdo (Ten Symbols of Longevity).

We all yearn for a better tomorrow than today. The desire for our lives to be more peaceful, even just for a day, is an unchanging human longing that transcends time. The Sipjangsaengdo, which flour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both royal court paintings and folk art, was deeply intertwined with this desire. These paintings idealized a world brimming with vitality, and through depicting, sharing, and owning such imagery, people hoped for health and longevity.

I reinterpret the tradition of the Sipjangsaengdo not merely as a wish for long life, but as an expression of the will to live and mutual encouragement between people. Through my own contemporary versions of these works, I hope to convey that spirit of support and hope to today's viewers.

From past to present, the human longing for a healthy, long life remains universal. I find deep wonder in the very existence of the Sipjangsaengdo paintings created to embody and invoke this primal hope. I seek to understand the act of creating, sharing, and preserving such images not just as visual practice, but as a cultural form a collective expression of will and care for life itself.

Interestingly, the traditional Sipjangsaengdo includes no human figures. It is said that this absence was intentionalthese images were made for people to see themselves in them. In this way, the world within the painting, though lacking direct human imagery, presents an ideal realm full of life and harmony, envisioned for the human viewer.

From this, I arrive at a question for the present:

“What does our ideal world look like today?”

For ancestors, the ideal world was depicted through unchanging natural elementssun, moon, mountains, water. But what about us? What is the image of an ideal world for the modern individual? In an era of rapid progress and constant change, I believe each person dreams of their own, uniquely imagined utopia. Some visions are specific, others vague but perhaps, many of our ideal worlds are already here, closer than we think.

Maybe the world we live in today is the tomorrow we once longed for. With this perspective, I want to use my art to invite people to rediscover fragments of their dreams within the present moment to see everyday life as sacred, and to embrace the wonder of now. The ideal world we seek may not be far away it may be quietly present in the small, cherished moments of daily life.

A better tomorrow that we long for a day devoted to that tomorrow is in fact the tomorrow we once wished for yesterday.
Let us take a moment to pause, and truly behold the today we once hoped would come.

A precious world that seems distant,
is in fact—right here, today.

In recent works, I incorporate animal characters such as the crane, deer, and turtle symbols from the Sipjangsaengdo reimagined in anthropomorphic forms that reflect ourselves. I also diagram and stylize other symbols of nature (sun, moon, mountains, water, clouds, mushrooms of immortality, pine trees, etc.), or juxtapose them with actual landscapes to reconstruct the ten symbolic elements of the Sipjangsaengdo in new ways. At times, I transform or quote the traditional lines and compositions of the Sipjangsaengdo, creating playful reinterpretations that differentiate the new from the old.

It may sound grand, but as an artist living in the now, I see myself as a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Drawing on the cultural legacy of the Sipjangsaengdo and its symbolic values, I hope to inherit and continue its essential purpose: to uplift and affirm life.

Through a newly imagined Sipjangsaengdo,

I am to support the lives of modern individuals including my own 
and to record the precious days of our shared present.

© 2035 Wix.com으로 제작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작가 김소연에 귀속됩니다.

  • Instagr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