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청년인문실험 [은밀한 비지니스]

  • 작성자 사진: soyeon kim
    soyeon kim
  • 10월 17일
  • 2분 분량

인구 소멸지역인 경남 고성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이 생존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울 수 있을지 '청년인문실험'을 구상하게 되었다.


청년 예술가와 사업가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고성, 소위 시골마을은 작은 소도시에서 작가 활동을 하는 작가들과, 사업을 하고 있는 사업가가 모여 함께 시너지를 발휘해보고자 기획하기 된 [은밀한 비지니스]는, 어울릴 듯 어울리지 않는 청년들이 만나 어떻게 상생하는 비즈니스로 풀어갈지, 몇 없는 청년들이 작당모의 하여 신나는 일을 만들어 보려 노력한 도전이다.


  • 사업 기간 : 2024년 8월20일 ~11월29일

  • 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청년인문실험

  • 주최: PARADIS(단체 두들)


실험 내용 및 결과

  1. 기획의도

청년 거주 비율이 저조한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일꾼’으로의 역할을 마다하지 않는 청년들로 구성되었다. 인구소멸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군민들이 줄어 가는 것을 걱정하기 보다, 그 안에서 얼마나 더 활기차고 열정 인구 소멸지역인 고성에 거주하고 있으면서 작가 활동을 하는 작가들과, 사업을 하고 있는 사업가가 모여 군민을 향한 이벤트를 마련하고자 한다. 어울릴 듯 어울리지 않는 청년들이 만나 어떻게 상생하는 비즈니스로 풀어갈지, 몇 없는 청년들이 작당모의 하여 신나는 일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인구 소멸지역인 시골에서 살아남기 위한 청년들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도전입니다.

     

2. 실험 방법

1) 청년 사업가와 청년 예술가 모임 결성

2) 사업가와 예술가 매칭을 통한 사업장에서의 전시 발표 및 공유

3) 청년 사업장과 청년 예술가의 작품을 함께 홍보하는 효과 기대

4) 청년 사업가과 예술가의 네트워킹 및 인구소멸 지역에서의 상생 방안 모색

     

3. 실험결과

1) 청년으로 된 네트워킹이 형성으로 새로운 모임이 탄생

2) 사업과 예술이 만나 또 하나의 비즈니스가 되고 지역주민들에게 이벤트가 됨

3)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만남과 협의를 통해 시골살이 공동체가 마련됨

4) 청년으로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하는 현실을 보다 희망적인 태도로 바라보고자 하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형성하게 됨


  1. 자체 평가

실험을 위한 청년 사업가와 작가 발굴에 막막함이 있었지만, 주변에 수소문하고 노력을 기울여 참여 작가 및 사업가를 매칭할 수 있었다. 생각보다 가까이에 청년들이 활동하고 있었음을 확인하고, 새로운 관계로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서로 다른 활동을 하는 청년들이라 생소한 프로젝트였지만, ‘청년’이라는 공통된 위치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시골살이’라는 일치한 환경에서 대동단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겼던 것 같다.

결과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청년의 연대가 생긴 것 같고 인맥이나 네트워크가 확장되어 각자 그리고 같이 성장할수 있는 기회와 발판을 마련하게 된 것 같다.


은밀한 비지니스 영상 자료

인구소멸지역인 고성에서 거주하는 것은 말 그대로 향유라기 보다 거주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가족들이 원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생활하고 있는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여기에서도 얼마든지 재미있는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좀 더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을 가져야 겠다 반성하는 개기가 되었다. 작가로 활동하면서 작가들끼리만 소통해 왔는데, 사업하시는 분들과의 만남이 새로웠습니다. 늘 고성이라는 지역에서는 기회가 없다고 생각하고, 보따리 싸서 다른 지역으로 전시에 지원하고 참여하고, 활동하였는데,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기획을 직업 추진하여 이벤트를 가지는 것이 굉장히 의미가 있었다. 얼마든지 주도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이번 개기로 알게 되었다. 그리고 생각보다 같은 생각을 가진 청년들이 고성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고, 앞으로도 더 많은 소통과 이벤트를 만들어 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



 
 
 

댓글


© 2035 Wix.com으로 제작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작가 김소연에 귀속됩니다.

  • Instagram
bottom of page